로고

(주)아이씨스템
관리자
  • 랜공사
  • 시공사례
  • 랜공사

    시공사례

    FTTh 광케이블 포설 / 공사현장 / 하이박스

    페이지 정보

    profile_image
    작성자 관리자
    댓글 댓글 0건  

    본문

    🌐 광통신 네트워크 구축 현장 분석: FTTH/FTTB 환경에서의 GIGA 인터넷 인프라 구현

    1. 엑세스 네트워크 (Access Network)의 핵심: 광케이블 포설 및 전송로 확보

    제공된 사진들은 통신 사업자가 가입자에게 광섬유를 직접 연결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구축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.

    • 배전선로 이용 광케이블 포설

    • 작업자가 **고소 작업대(Aerial Work Platform)**를 이용하여 기존 전주(Utility Pole) 상단의 통신 선로 구간에 신규 광케이블을 포설하고 있습니다.

    • 이는 주로 **가공 광케이블 (Aerial Fiber Optic Cable)**을 이용한 포설 방식이며, 지중화되지 않은 외곽 지역이나 주택가에서 가장 일반적인 OAN (Outside Access Network) 구축 방법입니다.

    • 안정적인 장력 관리와 이도(Sag) 조절이 중요하며,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자립형 (Self-Supporting) 또는 강선(Messenger Wire) 보강형이 사용됩니다.

    • 인입 케이블의 구조물 고정

    • 광케이블이 최종 목적지 구조물로 **인입(Lead-in)**되는 구간을 나타냅니다.

    • 인입 시 케이블의 **곡률 반경 (Bend Radius)**이 허용치 이상을 유지하도록 신경 쓰고 있으며, 케이블 손상 및 단선 방지를 위해 **케이블 타이(Cable Tie)**나 **웨더프루프 밴드(Weatherproof Band)**를 사용하여 구조물에 단단히 결속하는 표준 시공을 따르고 있습니다.

    • 이는 광손실(Optical Loss)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필수 공정입니다.


    2. 가입자 분배 시스템: FAT (Feeder Access Terminal) 및 ODB (Optical Distribution Box)

    GIGA 인터넷 신호를 다수의 가입자로 분기하는 주요 시설물에 대한 분석입니다. 사진 속의 함체는 FTTH 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.

    • 전주 설치형 FAT/ODB

    • 함체에 부착된 'GIGA internet kt' 표시는 해당 네트워크가 GPON (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) 또는 XG(S)-PON을 기반으로 하는 FTTX 환경임을 시사합니다.

    • 이 함체는 FAT (Feeder Access Terminal) 또는 **ODB (Optical Distribution Box)**로 불리며, 주간선(Feeder) 케이블의 광섬유를 **광분배기(Splitter)**를 통해 4:1, 8:1 또는 16:1 등으로 분기하여 개별 가입자 인입선(Drop Cable)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.

    • 함체 외부의 숫자가 적힌 표시는 분기 포트 번호접속 정보를 나타내며, 이는 향후 유지보수(Troubleshooting) 시 광파워 측정 및 포트 추적을 위한 중요한 자산 관리(Asset Management) 정보입니다.

    • 하단에 정리된 **여유 광케이블 (Slack)**은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/팽창 대응 및 재접속(Re-splicing)을 위한 필수적인 확보량입니다.


    3. 최종 접속 지점: 옥외형 광 종단함 (ODC/FDP) 구축

    고객 구내(Premise)로 광케이블이 들어가기 직전의 종단점은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.

    • 옥외형 광 종단함 설치MG_20251105_103400.jpg):

    • 설치된 함체는 광 종단함(ODF: Optical Distribution Frame) 또는 소형 **FDP (Fiber Distribution Panel)**의 옥외형 버전으로 보입니다.

    • 함체는 외부 환경(먼지, 습기, UV)으로부터 광섬유 접속점과 커넥터를 보호하는 IP 등급을 갖춘 내후성(Weatherproof) 자재로 제작되었습니다.

    • IMG_20251105_103400.jpg에서 개방된 함체 내부의 패널은 **광 접속 트레이(Splice Tray)**가 위치할 공간을 보여주며, 인입된 광케이블의 **광융착 접속(Fusion Splicing)**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 상태입니다.

    • 이 접속함체에서 주광선이 인입된 후, **피그테일(Pigtail)**을 이용한 융착 접속을 거쳐 **광 어댑터(Adapter)**를 통해 최종적으로 가입자 댁내의 **ONT (Optical Network Terminal)**로 연결될 **드롭 케이블(Drop Cable)**이 접속됩니다.


    🎯 요약 및 시사점

    종합적으로 볼 때, 현장 사진들은 **"통신 선로 공법 및 광케이블 접속 표준"**에 의거하여 체계적으로 진행된 GIGA 인터넷 인프라 구축의 모범적인 사례를 보여줍니다.

    1. 안전성 확보: 고소 작업 시 안전 장비 및 작업차 사용.

    2. 광 전송 품질 관리: 곡률 반경 준수 및 견고한 케이블 고정.

    3. 네트워크 관리 용이성: 분배함(FAT)을 통한 체계적인 포트 관리 및 자산 정보 표기.

    4. 서비스 연속성: 여유 광케이블 확보 및 내후성 종단함 사용.

    이러한 단계들은 광 네트워크의 **신뢰성(Reliability)**과 **가용성(Availability)**을 보장하여, 가입자들에게 끊김 없는 GIGA급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이 됩니다.

    댓글목록

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